
안녕하세요 peos입니다.
오늘은 주당 순이익(EPS)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합니다. 고객사에게 적합한 바이어를 찾기 위해서 금융 팩터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융 팩터를 공부하는 이유는 계량적,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분석 방법을 공부하여 저희 상품에 적용하기 위함입니다. 금융팩터 스터디의 관련글입니다. 다른 팩터가 궁금하시면 클릭요청드립니다! 오늘은 '테슬라'의 투자 정보를 확인해보겠습니다.
PBR이 궁금하다면?
PBR 낮은 기업찾자!_금융 팩터 스터디
안녕하세요 peos입니다. 고객사에게 적합한 바이어를 찾기 위해서 거시경제의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오늘부터 기업의 공시자료 데이터를 활용하고자합니다. 공시자료에 게시된
buyer-searching.tistory.com
PER이 궁금하다면?
PER 낮은 기업찾자!_금융 팩터 스터디
안녕하세요 peos입니다. 고객사에게 적합한 바이어를 찾기 위해서 금융 팩터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융 팩터를 공부하는 이유는 무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계량적, 정량적으로
buyer-searching.tistory.com
PSR이 궁금하다면?
PSR이란?_금융팩터스터디3
안녕하세요 peos입니다. 고객사에게 적합한 바이어를 찾기 위해서 금융 팩터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융 팩터를 공부하는 이유는 무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계량적, 정량적으로
buyer-searching.tistory.com
GP/A가 궁금하다면?
GP/A란?_금융팩터스터디4
안녕하세요 peos입니다. 고객사에게 적합한 바이어를 찾기 위해서 금융 팩터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융 팩터를 공부하는 이유는 계량적,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분석 방법을 공부하여 저
buyer-searching.tistory.com
주당순이익이란?
영어로는 Earning Per Share(EPS)이며, 1주당 순이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하기와 같으며 많은 투자자들이 투자하기전에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주당순이익 = EPS = 순이익 ÷ 총 발행 주식 수량
투자자는 총 발행 주식 수량이 많아지게되면 1주당 순이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식 수량이 많아지게 되면 투자자의 매매 결정이 변경될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총 발행 주식 수량이 많아지게되면 해당 주식의 유동성이 많아지게 되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서 긍정적인 신호가 발생할 경우 주가 상승으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예시로 확인하기(테슬라)
해당 빨간색 박스을 확인해보면 테슬라의 주당순이익(EPS)는 2.87입니다. 야후 파이낸스(바로가기)에서는 투자 요약 정보의 페이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빨간색 박스에서 TTM은 Trailing Twelve Months의 약자로서, 보고서 날짜 직전의 12개월동안 소득을 계산하여 표기해놓은 금융 용어입니다.

결론
5번째 금융팩터 스터디로 EPS를 공부했습니다. 무역업에서 정성적 접근이 아닌 정량적 접근으로만 수행하는 그 날까지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바이어서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의 귀족 배당주는? (0) | 2022.10.25 |
---|---|
ROE가 얼마나 돼? (0) | 2022.10.24 |
GP/A란?_금융팩터스터디4 (0) | 2022.10.22 |
PSR이란?_금융팩터스터디3 (0) | 2022.10.21 |
PER 낮은 기업찾자!_금융 팩터 스터디 (0) | 2022.10.20 |